제 목 : 신생아 대상 의료비 부담 완화_10월 1일부터 신생아 난청 선별검사 급여화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작성자 | 운영자 (unhstft@daum.net)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작성일 | 2018년 09월 06일 17시 13분 10초 | 조회수 | 1,939회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LINK URL | http://www.mohw.go.kr/react/al/sal0301vw.jsp?PAR_MENU_ID=04&MENU_ID=0403&page=5&CONT_SEQ=345601 (클릭 434회)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<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 및 저출산 대책 후속조치 > 신생아 대상 의료비 부담 완화
< 신생아 질환 등 필수적 의료분야 급여화 >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(17년8월)의 비급여의 급여화 후속조치로 10월 1일부터 신생아 선천성 대사이상 및 난청 선별검사, 자궁내 태아수혈 처치 등 신생아 질환, 임신·출산 등의 20여개 비급여 항목이 급여화 된다. 선천성대사이상* 및 난청 선별검사 등은 이상유무를 조기에 발견·치료하여 장애발생을 사전에 예방·최소화하는 필수적인 검사다. 대부분의 신생아가 검사를 받고 있으나,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15만 원~20만 원 내외의 의료비를 환자가 전부 부담하고 있다. * 선천성대사이상: 특정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하여 관련 대사과정에 이상이 발생하여 탄수화물, 아미노산, 유기산, 지방산 등 대사이상질환(페닐케톤뇨증, 갈락토스혈증 등) 발생 현재 50여종의 대사이상 질환검사(tandem mass)가 비급여로 1인당 10만 원 내외 검사비 부담이 발생하고 있다. 난청 검사 2종(자동화 이음향방사검사, 자동화 청성뇌간 반응검사)의 경우 비급여 가격이 5만 원~10만 원에 해당하고 있다. 10월 1일 부터 신생아 대상으로 선천성대사이상 및 난청 선별검사를 실시할 경우 건강보험이 적용되고 환자의 부담이 없어지거나 대폭 줄어들게 되어 연간 약 32만 명의 신생아가 혜택을 보게 된다. 10만 원 내외의 검사비용이 발생하는 선천성대사이상 검사는 대부분(96%)의 신생아가 태어난 직후 입원 상태에서 검사를 받게 되는데 이 경우 환자 부담금*은 없다. * 건강보험법 시행령 별표2 제3호에 따라 신생아(28일이내)는 입원 시 본인부담금 면제 다만 4% 내외 신생아는 의료기관 외에서 태어나는 등 외래 진료를 통해 검사를 받게 되면 2만2000원~4만 원(6만 원~7만8000원 경감)의 비용만 부담하게 된다. 외래 진료인 경우에도 기준중위소득 180%이하 가구(4인기준, 소득 813만5000원)는 국가지원사업을 통해 1회에 한하여 검사비를 지원*받게 되어, 사실상 환자 본인부담이 거의 없어지게 된다. * 영유아 사전예방적 건강관리 사업(복지부, 출산정책과) < 건강보험 적용 이후 환자 본인부담 비용 >
(단위: 원)
평균 8만 원 내외의 검사비용이 발생하는 난청 선별검사도 대부분(96%)의 신생아가 태어난 직후 입원 상태에서 검사를 받게 되는데 이 경우 환자 부담금*은 없다. * 건강보험법 시행령 별표2 제3호에 따라 신생아(28일이내)는 입원 시 본인부담금 면제
외래 진료를 통해 검사를 받는 신생아의 경우 자동화 이음향방사검사는 4,000원~9,000원(7만1000원~7만6000원 경감), 자동화 청성뇌간반응검사는 9,000원~1만9000원(6만1000원~7만1000원 경감) 비용만 부담하면 된다. 외래 진료인 경우에도 기준중위소득 180%이하 가구(4인기준, 소득 813만5000원)는 국가지원사업을 통해 1회에 한하여 검사비를 지원*받게 되어, 사실상 환자 본인부담이 거의 없어지게 된다. * 영유아 사전예방적 건강관리 사업(복지부, 출산정책과) < 건강보험 적용 이후 환자 본인부담 비용 >
(단위: 원)
이외에도 희귀질환 검사 또는 시술로서 발생건수(5~400건)가 작고, 실시하는 요양기관수가 적어 비급여로 되어 있던 검사·처치(17개)도 의학적으로 필수적인 성격임을 감안하여 건강보험을 적용하게 된다. 리소좀 축적질환(Lysosomal storage disease) 진단 검사 등 희귀한 유전성 대사질환 검사 15개, 산모 풍진이력 검사, 자궁내 태아수혈 등이 급여화 되며, 환자 부담은 종전에 비해 1/3 수준으로 줄어들게 된다.
이러한 비급여의 급여화와 함께 의료계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정수가 보상도 병행된다. 분만료 수가가 2.2%~4.4% 인상되고, 난청에 대한 확진검사(이음향방사검사) 수가도 10% 인상 된다.
보건복지부 홈 > 알림 > 보도자료 |
번호 | 제목 | 작성자 | 조회수 | 작성일 |
---|---|---|---|---|
![]() |
2025년 선천성 난청검사 및 보청기 지원사업 | 운영자 | 820 | 2025-01-15 |
![]() |
태어나 처음 엄마 목소리 들은 청각장애 아기의 ... | 운영자 | 4,469 | 2021-12-30 |
![]() |
"난청시대 - 소리로 세상을 연결하다" | 운영자 | 3,417 | 2021-12-28 |
![]() |
보청기 너무 비싸요 | 운영자 | 3,072 | 2021-10-15 |
![]() |
어떻게 해야 잘 들을 수 있나요? | 운영자 | 2,409 | 2021-10-15 |
![]() |
보청기 하기 싫은데, 꼭 필요할까요? | 운영자 | 2,480 | 2021-10-15 |
![]() |
난청 치료방법은? 보청기가 필요한가요? | 운영자 | 2,381 | 2021-10-15 |
![]() |
난청이란 무엇인가? | 운영자 | 2,358 | 2021-10-15 |
![]() |
귀한 뉴스 - 9월 9일 귀의날 | 운영자 | 2,313 | 2021-10-13 |
65 | 2024년 선천성 난청검사 및 보청기 지원사업 안... | 운영자 | 3,219 | 2024-03-01 |
64 | 2023년 선천성 난청검사 및 보청기 지원사업 안... | 운영자 | 3,335 | 2023-04-01 |
63 | 2022년 선천성 난청검사 및 보청기 지원사업 안... | 운영자 | 4,959 | 2022-03-24 |
62 | 귀의 날 9월9일 귀질환 안내문 - 중이염 안내 ... | 운영자 | 1,692 | 2021-10-13 |
61 | 귀의 날 9월9일 귀질환 안내문 - 이명 안내 및 ... | 운영자 | 1,648 | 2021-10-13 |
60 | 귀의 날 9월9일 귀질환 안내문 - 어지럼 안내 ... | 운영자 | 1,660 | 2021-10-13 |
59 | 귀의 날 9월9일 귀질환 안내문 - 난청 안내 및 ... | 운영자 | 1,657 | 2021-10-13 |
58 | 누구나 난청환자 될 수 있다 "국가적으로 관리... | 운영자 | 1,604 | 2021-10-13 |
57 | 난청 초기 치료 안했다간 온가족 낭패 볼 수도 | 운영자 | 1,599 | 2021-10-13 |
56 | "영유아 난청, 조기 발견해야 언어 발달 가능" | 운영자 | 1,683 | 2021-09-10 |
![]() |
(우) 06591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22 의생명산업연구원 4005호 Tel:02-3784-8551 | Fax: 0505-115-8551 | e-mail: kaudio2009@naver.com ![]() ![]() ©본 컨텐츠의 소유권은 대한청각학회에 있으며 무단으로 이용, 도용시 저작권법에 의거 처벌될 수 있습니다. |
![]() |